top of page

< 카우보이 휘슬 : Cowboy Whistle >

휘슬 

 

“내가 처음 입 밖으로 내보내졌을 때 그게 몸짓이었는지 소리였는지 분간할 수 없었다. 혀의 적당한 위치와 말려들어 간 입술, 진동하는 목구멍, 그리고 손가락과의 마찰이 적당해졌을 때 공간을 가로지르는 소리가 숨과 함께 뿜어져 나왔다. “휘이이이이익!” 말을 부르는 소리는 누군가의 발보다 빠르게 이동했고 한가로이 풀을 뜯으며 발을 구르던 그들에게 가닿았다. 일종의 부름이었다. 강하고 높은음으로 불러내면 그들은 땅을 구르며 빠르게 달려왔다. 그건 허공으로 사라지는 소리가 아닌 땅을 울리는 진동에 가까웠다. 숙련 된 카우보이는 말들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던 나를 정확하게 그곳으로 보낼 수 있는 힘이 있었다. 바람결에 실려 보는 풍경들은 너무나 빨라서 반대로 길게 늘어져 멈춘 듯 보였다. 한순간의 호출은 제 역할을 마치고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나는 말의 곁에서, 카우보이의 입과 손가락 위에서 언제든 날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 아직도 나는 내가 몸짓이었는지 소리였는지 분간할 수 없다.”

 

카우보이 

 

“내가 말을 시작한 게 먼저인지 말을 탄 게 먼저인지 잘 생각나지 않아. 그만큼 기억나는 시점부터 항상 말과 함께 했지. 말은 나와 놀아주는, 외로울 땐 옆에 있어 주는, 때때로 화가 날 때도 내 화를 온전히 받아주는 존재였다. 내가 어떤 감정이든 상태이든 항상 묵묵히 옆에 있어 주는 존재가 어디 흔한가? 함께하며 보았던 반짝이는 풍경이나 시간은 내 머릿속 깊숙한 곳에 보물처럼 각인되어 있지. 물론 나도 처음부터 카우보이는 아니었고 그저 동네에 말을 좀 탄다는 청년 중 하나였다. 카우보이가 되어서도 처음엔 모자가 머리에 잘 안 맞았어. 너무 푹 들어가 내 시야를 모두 가렸고 큰 바람이라도 불면 넓은 챙이 휘청거리며 바닥으로 떨어지기 일쑤였지. 그래도 안 맞는 모자를 계속 머리 위에 얹어놨다. 그때는 왜 말을 부르고 타는 것보다 모자가 더 중요했을까. 그게 나를 카우보이로 만들어 준다고 생각했다. 글쎄, 그런 시기를 지나 지금은 말과 함께 슬렁슬렁 산책하듯 걷거나 때로는 미친 듯한 속력으로 평야를 달리거나, 풀어놓고 제 가고 싶은 대로 내 몸을 맡기거나, 서 있는 말 위에 하루 내내 가만히 앉아있기도 한다. 말 없는 카우보이는 아무래도 말이 안 되니까. 그래서 내가 말을 시작한 게 먼저인지 말을 탄 게 먼저인지 생각이 안 난다. 확실한 건 지금은 말하는 것보다 말을 더 잘 탄다는 거다.”

 

 

숨바꼭질

 

말(talk)로 전해지는 이야기가 마치 생명체처럼 어딘가 소실되고 변화하는 것처럼 말(horse)이 몰아온 이미지도 꿈의 속성을 닮아 있다. 아무리 똑바로 보려 해도 어딘가 흐릿하게 가려져 있기도 하고, 중요한 것은 사소해지고 사소한 건 중요해진다. 이미지를 찾는 숨바꼭질에서 강박적으로 세던 숫자는 캔버스를 가득 채우거나 중간에 뚝 멈춰 버리기도 한다. 흐르는 대로 두는 것과 일종의 강박 사이에서 건져 올려진 이미지들은 각각 다른 호흡으로 캔버스에 새겨진다. 기름지고 능숙한 붓질과 더듬거리고 어설픈 붓질, 뭉개는 붓질과 촘촘히 묘사하는 붓질, 치약 짜내듯 올려진 물감과 수채화처럼 얇게 흡수된 색, 물감을 돌처럼 켜켜이 쌓거나 캔버스 찢어내는 행위를 오가는 이유는 건져 올려진 이미지들이 모두 다름에 있다. 그림들이 각각의 제 목소리를 갖게 하기 위해선 그들에게 맞는 톤과 호흡을 찾아내야 한다. 그래서 내 손에 익숙한 붓질과 톤을 버리고 그리는/그려지는/찾아낸 이미지에 맞는 붓질과 색을 다시 찾아낸다.  그리고 그것 역시 매일 매일 다른 꿈을 꾸는, 무의식적으로 하루의 기억이나 사로잡힌 감정을 자기식대로 소화하는 인간을 닮아 있다. 꿈속의 이야기와 이미지는 곧 사라지지만 내가 찾아낸 이미지들은 캔버스 위에서 살아난다.

 

“구석기 동굴벽화부터 연극, 영화에 이르기까지 이미지의 확장과 변화를 말과 카우보이, 풍경들로 보여주면 어떤 내용이 될까? 내면에서 숨바꼭질하며 찾아낸 이미지들로 연극을 벌인다. 내 안의 대극장 속에서 과거에 대한 기억을 붙잡고 불안정한 세계 안에 놓인 인간의 내면을 면밀히 들여다본다.”

 

처음 카우보이가 말과 함께 이미지를 찾는 여행, 숨바꼭질을 상상하며 썼던 짧은 글이다. 그림에 담고 싶은 말들이 많아 장난처럼 시작된 말 그리기는 어느새 말을 잘 다루는 카우보이를 불러들였고, 그들은 백색의 평면 위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어디든 갈 수 있었다. 한국어에서 ‘말’이 말하는 말과 동물의 말 둘 다를 지칭하듯, 나는 종종 언어와 이미지가 하나였을 때를 상상한다. 동굴 가장 깊숙한 곳에 그려진 동굴벽화를 바라보는 원시인을 상상한다. 횃불이 가로지르는 대로 마치 움직이는 듯 보였을 마술 같은 그림들. 트뤼포는 무성영화 시대의 감독들이 영화의 잃어버린 비밀을 안다고 했다. 현란한 음향이나 컴퓨터그래픽, 편집기법 없이 이미지들로 전달해야만 했던 그들처럼 동굴벽화의 그림들은 화가에게 시대와 인종과 그 무엇을 떠나 그림의 원초적 힘을 계속 상기시킨다. 응축되고 덧입혀진 선에 담긴 에너지는 누군지 모를 몇만 년 전 원시인의 존재를 눈앞에 불러오고 그 그림이 지녔을 여러 의미들을 생각하게 한다.

 

내 그림에 등장하는 동굴벽화나 카우보이 등은 그 자체로 노스텔지어를 자극한다. 그림에 그려진 잊지 못할 여행 속 풍경들, 부모님의 신혼여행 때 사진, 어린 시절 말 장난감에 탄 나의 모습 등도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소재들이다. 순간의 현재와 계속해서 갱신되는 과거 속에서 잊혔거나 숨겨진 이미지를 찾기 위한 숨바꼭질은 자연스레 과거의 모습을 띤다. 그것은 나의 과거이기도 하고 내가 존재하지 않았던 시절의 과거이기도 하다. 나는 일전에 그림을 그리는 사람에게 ‘그림’이란 과거시제에 더 가깝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그것은 비단 그려진 소재 때문만이 아니라 어떤 그림을 그려 냈을 때 화가는 더 이상 그때의 자신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그림으로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소화시키고 완성하면 그로 인해 달라진 나를 마주하게 된다. 그림을 그리는 나와 현재의 나는 언제나 불일치한다. 말과 말의 건너감이 유희적으로, 카우보이의 숨바꼭질이 놀이의 속성을 가진 것도 어쩌면 이 때문인지 모른다. 찰나의 순간을 잡아채기 위한 긴장과 이미지를 찾아내는 여정이 너무 힘들거나 지치지 않기 위해서, 불일치의 내가 계속해서 즐겁게 다음 그림을 그려내기 위해서. 미래로 추동 하는 힘은 멈추지 않는 현재와 조금씩 변화하는 나에게 있다.

Whistle


“When I was first gushed out of the mouth, I couldn’t tell whether I was a gesture or a sound. When the tongue is placed just right, the lips curled inwards, the throat vibrating, and the friction against the fingers ideal, sound that transgress space is expelled out with the breath. “Phwwwwwhht!” The sound, travelling faster than anyone’s feet, reaches the leisurely grazing horses. It is a call of sorts. Called out in the strong, high-pitched sound, the horses break into a gallop towards the sound, pushing away the ground beneath them. The rumble of the ground is not a sound that thinly dissipates into air, but a vibration that resonate the earth. An expert cowboy has the skills to deliver me to exactly where the horses are, no matter the distance. Carried by the wind, the scenery passes so quickly that it seemed to elongate in reverse and stop. The whistle may seem ephemeral, but I am always around – by the horse’s side and on the mouth and fingers of the cowboy – ready to fly away at any moment. Even now I don’t know whether I am a gesture or a sound.”

 


Cowboy


I do not know whether I spoke 말mal(words) first or whether I rode 말mal(horse) first, but for as long as I can remember, 말mal was always there with me. 말mal was there when I needed a friend, when I was lonely; even in times when anger took the better of me, 말mal took my anger in stride. How often do you find a being that is always there for you, no matter your emotion and situation? The dazzling scenery and times that we’ve shared are imprinted deep in my mind like treasures. Of course, I wasn’t always a cowboy, just one of the many young men who was good with 말mal. Even once I became a cowboy, however, the hat didn’t sit perfectly on my head at first. It was too large and blocked all my vision, and the wide brim would flap and fall to the ground with the slightest gust of wind. Still, I kept it on my head. I wonder now why the hat seemed more important to me then than the call and ride of 말mal. I used to think that the hat made me a cowboy. Now, I am always with 말mal; sometimes I ride 말mal at a leisurely stroll, or at a breakneck pace across the plains, or unleashed and letting them go by their own will, and at other times I will sit all day-long on a still 말mal. If you think about it, after all, a cowboy without a 말mal makes no sense. So, I don’t know if I started speaking 말mal first or whether I started riding 말mal first. What I do know is that I ride better than I speak now.” 

 


Hide and Seek


Just as stories told in mal(words) become lost and change like an organic substance, the images brought by mal(horse) also resemble the properties of dreams. No matter how hard you try to look at it straight, it always appears partially covered and opaque; the important becomes trivial and the trivial becomes important. The numbers that I obsessively count during my hide-and-seek search for images fill the canvas or stop dead
in their tracks. Images found in between compulsion and organic flow are painted onto the canvas each by their unique breath. As each image is different, I oscillate between the well- oiled and skilful brushstrokes to the fumbling and clumsy brushstrokes, between the big and blotchy brushstrokes to the dense detailed brushstrokes, between paint squeezed out like toothpaste and paint thinly absorbed like watercolour; paint
is piled up like stones and the canvas is sometimes torn apart to accommodate each image. For each painting to have its own voice, I need to find the right tone and breath unique to them. So, I abandon the brushstrokes and tones that are most familiar to my hands and discover the brushstrokes and colours that fit the image I’m painting, depicting and searching. The stories and images in dreams soon fade away, unlike the images I find, which come to life on the canvas. 

“From Paleolithic cave paintings to theatre and film, what would it be like to show the transformation and evolution of images through horses, cowboys, and landscapes? A play created from images found playing hide-and-seek within myself. In my own inner theatre, I hold onto memories of the past and take a closer look at the human condition in an unstable world.”


The journey our cowboy and ‘말mal ’ embark on to search for images started from a short text I wrote imagining a game of hide-and-seek. As I had so many 말mal(words) I wanted to say in my paintings, I started drawing 말mal(horses) as a play on words. Soon the horses brought the cowboy into the picture. The two could go anywhere on the white plane without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s the homonym ‘말 mal ’ can mean both words and the animal, I often imagine the time when language and image were one. I imagine the prehistoric human looking at a cave painting located in the deepest corner of a cave. Enchanting paintings that must have seemed to move as the torchlight passed across them. Truffaut believed that the directors of the silent film era knew the lost secrets of cinema. Like them, who had to communicate without embellishing sound, graphics or editing, the cave paintings continue to remind artists of the primal power of drawing that is beyond time, race, or anything else. The energy in the condensed, overlapping lines brings to life the presence of the unknown artist from tens of thousands of years ago and evokes contemplation about the numerous meanings held within.

 

 The cave paintings and cowboys in my paintings evoke nostalgia. As do the unforgettable scenary from my travels, photographs of my parents’ honeymoon, and the childhood photograph of me riding a horse toy found in my paintings. The images I find through the hide-and-seek I play – images that are constantly hiding and being forgotten in the present of the moment and the ever-renewing past – naturally takes on the appearance of the past. This past is both of a time that predates my existence and of a time that is mine. I once expressed to a painter that ‘painting’ in its essence is past tense. This is not only because of the subject matter, but also because when a painting is created, the artist can no longer be themselves. When artists assimilate and complete their past and present through a painting, they are confronted with a different version of themselves; there will always be a discrepancy between the me who paints and the me who is now. Perhaps this is why the flexible oscillation of meaning between the two definitions of 말mal as words and horses can be playful, and why the hide-and-seek played by the cowboy has qualities of childhood games: so that the constant alertness to capture the moment and the journey I embark to find images does not become too trying, so that I could continue onto my next painting with joy. The power to propel me into the future lies in the unstoppable present and the ever- changing me.

​< 당신이 말을 멈추면 : When You Stop It >

 

뭔가 낯설어지면, 보기가 좋아요! 말이 안 통하는 둘의 대화를 구경할 때랑 비슷하게. 지금 몇 시죠? 여기는 북극과 1873km 떨어져 있습니다. 누군가 빵을 집으면, 상대방이 소화기를 뿌리고. 먹지 못하게 됐군요, 전 잘 지냅니다. 좋아요, 이런 게!

어떤 사람이 회전목마에 올라타서 주위를 두리번거려요. 뭐 찾는 게 있나? 아니요, 저 사람은 그냥 두리번거릴 뿐이예요. 어떤 사람이 커튼 뒤에 숨어 있어요. 무서운가? 아니요, 저 사람은 그냥 커튼 뒤에서 지켜보는 것 뿐이예요. 어떤 사람이 숫자를 세요. 때를 기다리나? 아니요, 저 사람은 그냥 숫자를 셀 뿐이예요.

사람들은 작은 게임 규칙에도 단련이 됐어요. 찾는 자와 숨는 자.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가면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바나나, 바나나는 길어, 길으면 기차… 그게 자연스러운 거니까.

누가 찾는 사람인지, 누가 숨는 사람인지 어떻게 알지? 규칙에 단련되어 있어도 우리는 시작 전에 누가 누구인지 몰라요. 머릿속으로 원숭이 엉덩이는 파랗다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파란건 바다 바다는 넓어 넓은건…

대부분은 무언가를 찾자마자, 들키자마자 더이상 찾는 자와 숨는 자가 되지 못해요. 보기 좋게 우스꽝스러워 질 뿐이죠.

찾는 자인 동시에 숨는 자이게 되는 곳, 마치 숨바꼭질을 하듯 끊임없이 위치를 바꾸면서, 당신이 말을 멈추면.

                                                                        When you stop the *말(mal)
 


“it’s easy on the eyes when things become, unordinary, strange! Like witnessing a two miscommunicating.
What is the time? It is 1873km away from the North Pole. When someone grabs the bread, the recipient sweeps with a fire extinguisher. Inedible. I am doing fine. -I like things going on like this!”

 

“One seeks around on a horse of a merry-go-round. Is he looking for something? No, he is just gazing around. Someone is hiding behind the curtain. Is he scared? No, he is just looking from behind the curtain. Another is counting. Is he waiting for the moment? No, He is just counting.”

“People are accustomed to any sort of games and its rules. The seeker and the hider. **Monkey’s bottom is red, Red is for apple, Apple is delicious, What is delicious is a banana, Banana is long, Train is long… It comes naturally.”

“How do you know who is the seeker and the hider? Even if we are accustomed to the rules, we do not know until the game begins. You could be thinking, the monkey’s bottom is blue. Blue is for ocean, Ocean is vast. What is vast is a… Mostly, as soon as they find, discovered, you cannot be a seeker or a hider anymore. Simply have made fun of oneself.”

“A place where it’s possible to be both ‘seeker’ and a ‘hider’. Like playing hide and seek, constantly changing places, When you stop the *말 (mal)”



* 말 (mal) is a homonym in Korean meaning ‘horse’ or ‘talk’. The sentence intended a pun. 
**Widely sung children’s song in Korea. A type of nursery rhyme using word association method.

 

 < 카니발헤드 : Carnivalhead > 

카니발헤드 시리즈는 축제화 된 죽음을 그린다. 과거부터 이어진 가면축제나 요즈음의 할로윈 코스튬까지 축제 속 모습들은 신화적 기원이나 종교성이 사라지고 세속적 의미로 변이되었지만 얼굴을 가리는 가면이나 변장을 통해 일상성이 감춰지고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되는 것은 동일하다. 축제 속에서 ‘타자성’을 드러내는 것은 단순히 본래의 모습을 가린다는 것을 넘어서서 또 다른 차원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다. 카니발헤드 시리즈는 동시대 사람들의 절제되지 않은 욕망과 파편화 되고 무질서한 삶을 해체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가면과 코스튬 속 신화와 전설, 동물 흉내, 그리고 온갖 대중문화의 코드들을 뒤섞어 다양한 인물 군상을 그려낸다.

미술사 속 혹은 대중문화 속 온갖 상징들은 한데 뒤섞이고 이는 패러디와 오마주를 넘나들며 화면 안에 짓이겨진다. 그리고 그것은 우연적으로 보이는 추상적 붓질들로 얼기설기 겹쳐져 바득바득 그림이라고 소리치는 와중에 절묘하게 엮어져 떠오른 형상(figure)들이다. 형상의 어원이(figura) 귀신인 것처럼 그림 속 인물들은 해체되었으나 다분히 물질적인 방식으로 결합되어 죽어있지도 살아있지도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카니발헤드 시리즈는 완결되지 않은 현재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원할 것 같고 완전한 것 같은 회화의 모습이 아닌 보다 드로잉적이고 자유로우며 제멋대로인 듯한, ‘완성’이라는 말이 무색한 그림의 상태를 추구한다.

The Carnival Head series depicts a festive version of death. The images of the festival, from the traditional masquerades to modern Halloween costumes, have lost their mythological and religious origins and have been transformed into secular symbols. However, the act of concealing one's identity through masks or disguises, and transforming oneself into a new form, remains the same. Revealing the 'otherness' in oneself during a festival is not only about hiding one's true identity but also about entering a different realm. The Carnival Head series deconstructs the unbridled desires and fragmented, disorderly lives of contemporary people while mixing the myths, legends, animal mimicry, and various codes of popular culture to create a diverse cast of characters.


The symbols of art history or popular culture are mixed together, parodying and paying homage to each other as they fill the screen. The figures that emerge in the midst of seemingly coincidental, abstract brushstrokes are exquisitely intertwined, even though the picture is a patchwork of different elements. Like the origin of the word figure; figura, meaning 'ghost,' the characters in the painting have been deconstructed and exist in a state of neither life nor death, combined in a decidedly materialistic manner. The Carnival Head series can be seen as a story about the present, which is not yet complete. Therefore, it seeks a drawing-like, free, and idiosyncratic state of the picture that is more fluid than a completed work, and the word 'completion' seems to be meaningless.
 

 

 

 < 검은 장막 : The Black Curtain > 

 

한낮의 바쁜 현실이 지나고 밤이 찾아와 침대 위에 누우면 현재의 경험들과 과거의 실수, 잘못들 이 뒤섞여 한꺼번에 들이닥친다. 그 중에서도 과거의 실수와 잘못은 눈꺼풀 아래에서 현실보다 더 생생하게 반복 재생된다.

다행히 잊었다 한들, 무의식의 장난인지 혹은 경고인지 알 수 없는 악몽을 통해 재연되기도 한다. 검은 장막 시리즈는 한국 사회 속의 역사적 죽음과 관련된 사건들을 다룬다. 역사적 사건들의 망각과 무지, 혹은 의도적 무관심 속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사람들의 의식 저편에 묻혀 변형되고 왜곡된 채 유령처럼 되살아나 다가오는 것처럼 보였다. 이제 는 역사의 눈꺼풀 뒤로 숨어 들어가, 억지로 숨겨 놓은 화석화 된 유령들을 눈앞으로 끄집어 낼 때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야 비로소 잃어버린 것과 잊었던 것과 찾아야 할 것, 그리고 기억해야 할 것을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반은 난민의 자식이라는 말이 있다. 나의 친할아버지도 고향인 황해도를 떠나 서울에 정착하여 내 아버지를 낳았다. 당시 북에서 관리직에 있던 사람들은 전부 총살형에 처해질 위기였기에 남쪽으로 도망쳐 왔던 것이다. 그리고 나의 아버지는, 열두살 때 함께 낮잠을 자던 당신 의 아버지가 심장마비로 죽은 것을 발견한다. 무척 고된 세월을 보내셨으리라. 이처럼 거대한 비극의 파장은 셀 수 없이 많은 개인사를 진동시키며, 직접 겪은 자들과 그렇지 못한 자들의 차이를 혼재하게 만든다. 나는 그 진동들을 잊히고, 퇴색되고, 중첩된 현재의 상태 그대로 드러내고 싶었다. 검은 장막 시리즈는 한국 사회가 지닌 컴플렉스와 트라우마의 이면에 존재하는 초상이면서 동시에 풍경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풍경은 과거의 모습을 띠고 있으나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끊임없이 따라붙는 현재의 그림자이다. 나는 역사적 사건의 트라우마들을 마치 연극 무대 위 핀 조명을 받은 배우들처럼 캔버스 위로 불러내고, 과거와 현재, 사실과 기억이 중첩된 어딘가에 이들을 세워둠으로써 내 눈꺼풀 뒷면의 풍경을 생생히 옮겨내고자 한다. 

After a bustling busy day, comes the night. As I lie down in bed, mixed emotions conjured up -experiences of the present and mistakes and faults of the past. Out of all, the past mistakes and faults keep coming back to replay in a continuous loop in my head. Even if they could have been forgotten, memories still haunt me in my unconsciousness and come in the form of nightmares at times. The Korean War which left a great pain in the Korea history has technically never ended and yet is called ‘the forgotten war’ in the United States. History remembers deaths only up until they are forgotten and what still stays are scars of painful memories. We bear the scars in a struggle to both remember and let go. 
The Black Curtain series discusses some of historical deaths in the Korean society. I had been working on the subject matter of individuals’ death since 2012, and this series was born from there on. We have been forgotten and have shown very little interest, or if not all we have deliberately neglected what happened in our history.  Those unfinished historical events have been twisted and distorted and haunt us now. Maybe it is time to bring the forgotten past stories back so that we will finally be able to face what’s lost and forgotten, as well as what to discover and to remember. 

There is a saying in Korea that goes “about a half of Koreans are children of refugees”. My grandfather left his hometown in Hwanghae province and settled in Seoul where he welcomed my baby dad to the world. As almost all his colleagues including himself at managerial level were on the verge of being shot to death, he fled to Seoul. And when my father was twelve, he discovered his father dying of a heart attack. Father and son had a nap together and one of them couldn’t wake up forever. What a life. It must have been tough. Such waves of tragedy reverberate lives and stories of countless individuals and ultimately smudg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experience and those who didn’t. I wanted to capture the raw tragedy and paint it as it is – lost, faded and even altered tragedy we are living in. 
 

The Black Curtain series is both a portrait and a landscape that paint the deeply rooted complex and trauma in the Korean society. Disguised in the past looks, the landscape is an unresolved shadow of the present that follows continually. I bring traumas of the historic event to the canvas as if they are stars in the spotlight on the stage and situate them somewhere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between reality and memory hence I can recreate and present vividly what lies before my eyes. 

 

 

 < 페이싱 : Facing >

 

 거울에 비친 모습을 가만히, 오래 바라보고 있으면 어느새 낯설어지는 순간이 찾아온다. ‘이게 나 인가? 왜 이게 나지?’란 생각이 드는 것이다. 이는 거울을 응시하는 자아의 주체와 객체가 분리되 는 순간의 경험이다. 물질정보로서의 인체 표본과 그것을 바라보는 개별적인 인간들의 충돌된 풍경 이면에도 그러한 응시가 담겨있다. 그들은 눈 앞의 해부 표본을 바라보고 있지만 그것은 동시에 물질 그 자체를 바라보고 있는 것이며, 죽음을 바라보고, 나아가 자기자신을 바라보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화면 속 대상들의 관계는 회화를 바라보는 관람자와 회화를 대하는 나의 시선 과도 맞닿아있다. 그 시선의 본질은 철저히 뭉개지고 가려져있으며 명료한 것은 오직 바라보는 행위 그 자체뿐이다. 이것은 회화를 감상하는 관람자의 시선과 회화를 바라보는 나 자신의 시선이 충돌되는 순간에 대한 알레고리적 풍경이다. 해부학이 인간을 오로지 육체라는 물질적인 부분으로서 연구하고 내부 구조를 조사하는 것이듯, 시리즈는 과거 미술사에서 보여지는 형식을 차용하여 중세미술의 메멘토모리(memento mory)와 17세기 바니타스(vanitas) 회화의 모티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려는 회화사적 모색이기도 하다.  

When looking in the mirror, steadily for a long time, comes to a point that it all feels unfamiliar.
I come across thinking, ’Is this who I am? Why is this who I am?’
This is the experience of subject of oneself separating from the object of oneself.
Anatomical chart being a physical piece of information and the individuals gazing the subject, shares the similar experience as above. The viewers are looking at the anatomical chart , yet, simultaneously, they are looking into the objects itself, looking into death, and furthermore, looking into themselves. The relationships within the scene collides with the audiences of the painting and my gaze towards art.

The initial meaning of the gazing has been completely destroyed and shadowed, the only clear thing is the act of gazing itself. This is an allegorical scene of the crash between the gaze of a viewer and the gaze from myself towards the painting. Like in anatomy, viewing human just for its physicality to study and to investigate, <The facing> series is a search for modern reinterpretation of Memento Mori from medieval art and motifs of 17th century Vanitas by interpreting the method used in art history.


 

bottom of page